분류 전체보기 50

질 들뢰즈-칸트 철학을 요약해줄 수 있을 네 가지 시적인 경구에 대하여

칸트 철학을 요약해줄 수 있을 네 가지 시적인 경구에 대하여 + 몇몇 보충 내용 번역본을 참조하되, 내가 이미 번역한 바 있는 칸트 강의록에 맞추어서 번역어를 바꾸어 요약했고, 본문에는 없지만 내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내용이 있다면 작성하면서 내용을 끼워 넣었다. 그 경우 대괄호 [] 안에 내용을 집어넣었다. 1. 햄릿_시간은 탈구되었다The time is out of joint/Le temps sort de ses gonds! 칸트 철학에서 시간은 경험 속에서는 실재적이되, 실제로는 실재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경험하는 현상 자체이기보다는 현상들의 선험적 형식이나 조건이고, 따라서 구체적인 경험 속에서 어떤 양태를 띠고 나타날 뿐이기 때문이다. 탈구된 시간은 경첩에서 빠진 문과도 같은 것이어서..

질 들뢰즈, 《칸트의 비판철학》 1장 <순수이성비판에서 능력들의 관계>

질 들뢰즈, 《칸트의 비판철학》 1장 요약 2023.10.24. 이동구 선험적과 초월적 선험성은 필연성과 보편성에 관계한다. 개별 경험은 ‘모든, 언제나, 필연적으로, 내일’과 같은 표현에서 확인되는 보편성이나 필연성을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인식에서 이런 말들을 사용한다. 즉, 우리의 인식은 경험 가운데 주어진 것을 넘어설 수 있다. 흄은 인식이 사실의 확인이 아니라 어떤 보편성과 필연성을 구성할 때 비로소 일어난다고 보았다. 곧, 해가 뜨는 것을 천 번 보았다고 해서 인식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내일 해가 뜰 것이다’와 같이 말할 때 비로소 나는 인식한 것이다. 이 인식의 문제는 사실의 문제와 권리의 문제에 관계한다. 1-1. 인식에서 사실의 문제 우리는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경험과는 ..

질 들뢰즈, 《칸트의 비판철학》 서론 <초월적 방법>

질 들뢰즈, 《칸트의 비판철학》 서론 요약 2023.10.11. 이동구 칸트에서의 이성 칸트는 철학을, ‘인간 이성의 본질적 목적들에 대한 모든 인식의 관계에 관한 학문,’ ‘인간 이성의 최고 목적들에 대해 이성적 존재가 느끼는 사랑’으로 정의한다. 이성의 목적은, 기계적인 자연의 질서와는 대비되는 문화의 체계를 형성한다. 이렇게 이성의 목적을 규정하는 칸트의 기획은, 경험론과 독단적 이성론 모두와 대결하는 것이었다. 경험론에 따르자면, 이성은 목적들에 대한 능력이 아니다. 목적들이란 근원적 감수성, 목적들을 정립할 수 있는 [행위자의 자연적] ‘본성’에 의거한 것일 뿐으로, 이성의 독창성이란 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목적을 실현시키는 특정한 방법의 차이에 따라 정의된다. 즉, 동물과는 일단 구별되되, ..

Gilles Deleuze, Les Gêneurs (1978)

영토 없고, 탈영토화된 이들에 대한 민감함이 들뢰즈와 가타리의 ‘팔레스타인 대의’에 대한 관심commitment를 이룬다. 1978년, 일란 할레비는 뱅센에서, 이스라엘의 아랍 영토 몰수에 대한 세미나를 열고, 가타리가 이 세미나에 참여했다. 여기에서 논의가 오가는 가운데 할레비와 가타리를 모두 알고 있었던 팔레스타인 지식인 엘리아스 산바르Elias Sanbar가 또한 참여했다. 이때를 즈음해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의 출판을 앞두고 있었고, 전쟁기계와 국가장치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팔레스타인의 경험에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게 가타리는 뱅센에서 산바르의 유목적인 전쟁 기술에 대한 발언을 듣고는 그를 들뢰즈와 연결해 주었다. 산바르와 들뢰즈는 이 만남 이후 오래도록 친분을 유지했고..

번역 2023.10.19

바디우 메모 2: 철학자는 보편성에 참여한다 (명제 1-3)

일단 이 글을 읽는 것은 다음의 문제 때문: 복잡한 철학적 논의나 체계가 개별 사건 혹은 비이상적인 실천의 맥락 속에서 결국 '예' 혹은 '아니오'로 축소되어 버리는 것이라면, 철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철학은 세계에 언제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 것이며, 진정으로 '철학적인 상황'이라고 부를 만한 것은 무엇인가? 별개로 작년에 들뢰즈를 처음 읽었을 때 들었던, (당연히) 정확히 표현할 수는 없는 '뭔가 있다!'는 감각이 바디우한테서도 느껴진다. 몸만 좀 덜 피곤했으면 좋겠는데.. *요약하다 보니까 요약한 문서랑 원래 바디우가 쓴 글이랑 분량이 별로 다를 바가 없어서, --의 순서로 각 명제를 정리했다. -------------------------------- 명제 1. 사유는 보편성의 고유한 매개이다 ‘사..

바디우 개념어 정리 5

다음 단계: 에 대한 독해 / 정리한 개념어 숙지 바디우 공부 계획 수립: 입구와 경로로 삼을 텍스트 선별 50. 진리vérité 산출적 충실성의 한 공정에 의거해 (따라서 무한한) 항등을 긍정적으로 검열할 때, 이 검열을 통해 얻게 될 모든 항들을 한 곳으로 다시 모은 것. 진리는 상황의 무한한 한 부분, 그러나 미래에 보게 될 한 부분에 해당. 진리는 분간이 불가능. 곧, 백과사전의 어떤 규정자 아래에도 놓이지 않음. 진리는 지식 안에 구멍을 냄. 진리는 그 자체가 전체 상황의 진리이자 상황의 존재에 관한 진리. 진실성과 진리는 구분됨. 진실성은 진술들의 규준에 해당하지만, 진리는 (하나의 다수로) 존재함에 대한 어떤 유형에 해당. 따라서 진실된 것의 반대가 허위erroné라면, 참된 것 (진리)의 ..

바디우 개념어 정리 4

일단 내일 마치고 다시 보기로 뭔가 계속 알듯말듯.. 39. aleph (39, 40의 순서를 바꾸어 적는다.) aleph란 하나의 무한 기본집합을 말함. ωɑ로 표시. aleph에 연계되어 있는 전추이집합이 무한 기본집합들의 수열 안에서 aleph의 자리를 지정하기 때문. 즉, ωɑ는 무한 기본집합들의 수열 안에서 α번째에 해당하는 무한 기본집합. 이때 ωɑ는 β∈α에 해당하는 모든 ωβ보다 큼. 첫 번째 한계 기본집합이 ω₀이므로, 헤아릴 수 있는 무한 또는 ω₀이 첫 번째 aleph. aleph들이 이루는 수열은 ω₀, ω₁, ω₂.... ωn, ωn+1, ωn+2... ωω0, ωS(ω0) ...와 같음. [여기에서 ω₁, ω₂.... ωn, ωn+1, ωn+2...는 ω₀에 대한 후계로 접근 가..

바디우 개념어 정리 3

슬슬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안 됨. 이전까지 작성해둔 것을 읽지 않고 독해를 시작하면 금세 이게 뭐였더라 하게 됨... 29. 전全추이집합ordinal successeur 모든 원소들이 추이적인 추이집합. 자연적 다수의 존재론적 골격. 전추이집합의 원소는 그 자체가 전추이집합이므로, 이로부터 자연의 동질성homogénéité이 설명됨. 두 개의 전추이집합 α, β는 현시에 의해 질서잡힘. 이 질서 안에서는 α∈β이거나 β∈α (하나가 다른 하나에 귀속). 자연적 다수의 일반적 연결은 이것을 말함. α∈β인 경우 α는 β보다 작다. 이 경우 β가 추이적이므로, α⊂β. 30. 후계 전추이집합ordinal successeur 전추이집합 α에 대해, α∪{α}는 다수 α 위에 α 자신을 더한 다수로서, ..

바디우 개념어 정리 2

바디우미친놈.. 이러니까 읽다가 계속 막히지 19. 공백의 가장자리au bord du vide 상황 안 사건적 장소는 위치상 공백의 가장자리에 접해 있다는 특징을 가짐. 어떤 상황 안에서 사건적 장소자체는 현시되지만, 그 원소들은 현시되지 않음. 이러한 이유에서 사건적 장소 “아래에는en dessous” 오직 공백만이 있음. 다수가 상황 안에서 무엇을 의미하든, 그것은 상황 안에 있지 않고 공백의 가장자리에 접해 있을 뿐. 곧, β∈α일 때, γ∈β (는 β의 모든 원소)에 대해 ~(γ∈α)일 때 β는 α 안에서 공백의 가장자리에 접해 있다. 이때 β는 α를 세운다fonder고 한다. 세움의 공리 참조. 20. 공백vide 상황의 공백은 상황의 자기 존재와의 봉합suture. (하나-로-셈하기, 일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