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주제별 분류)/맑스주의 2

2. 맑스주의와 근대성의 전선: 잉여가치론과 자본의 증식

2023.10.02. 이진경, 맑스주의와 근대성 3장 요약 0. 맑스의 고유한 정치경제학? 맑스에게 고유한 정치경제학이란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는 일은 중요한데, 만일 맑스의 정치경제학이 단순히 당대의 지배적인 경제이론에서 비과학적인 것을 수정하거나 몇몇 명제를 추가한 것에 지나지 않아서, 종래의 이론 (이데올로기)들과 근본적인 단절의 지점을 마련하지 못했다면, 맑스주의 또한 근대적인 담론 혹은 이데올로기가 아닌가 하는 혐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맑스의 가장 중요한 저작들은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해 쓰였고, 그 분량만큼이나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정치경제학 ‘비판’에 그치지 않고, 맑스 자신이 기성의 정치경제학, 혹은 근대의 사고논리에서 벗어..

1. 맑스주의와 근대철학 사이의 딜레마

맑스주의와 근대철학 사이의 딜레마 2023.10.01. 이진경, 맑스주의와 근대성 2장 요약 맑스주의에 대한 공부를 시작한다. 오늘날 사회의 운동성은 우리 자신의 힘이나 정서의 움직임이기보다는 돈과 물자가 흐르는 속도로 이해되고, 사건들은 언제나 잘 정리된 제도나 제한시간 안에 이루어지는 합리적 의견 교환을 통해서만 일어날 수 있게 된 듯 보인다. 변화가 있기 전에 먼저 ‘좋은 시민’일 것을 요구하는 잘 정돈된 사회는 더 이상 어떤 충격으로서밖에 시작될 수 없는 변화를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러한 세태는 1) 합리적 의사소통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든 어떤 합의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는 막연한 가정, 그리고 2) 합리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제기되는 논제들은 변화로 이어질 수 없다는 편견에 의한 것이 아닐까? 이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