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작업 2

들뢰즈의 존재론과 윤리학, 그리고 그 예외 상황에 대해

들뢰즈의 존재론과 윤리학, 그리고 그 예외 상황에 대해 이동구 (철학과) 0. 들어가며 들뢰즈의 철학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성의 철학자와 작가들을 새롭게 읽어내고, 잊힌 철학자들을 발굴해 내는 가운데 거대한 스케일의 체계를 준비하는 철학사 연구의 시기 (1953-1968), 가타리와의 마주침을 계기로 정신분석학적 해석과 대결하며 이전에 없던 새로운 윤리학을 제시하는 윤리적⦁정치적 시기 (1970-1980), 그리고 그때까지의 작업을 바탕으로 문학, 회화, 영화를 넘나들며 예술과 이미지에 대해 연구한 미학적 시기 (1981-1995). 그러나 이 세 시기 구분은 들뢰즈가 내놓은 저작들의 주제와 성격에 입각하여 제시되는 대강의 구분일 뿐이고, 사실상 그 자신의 철학의 진행 방향은 이..

개인 작업 2023.09.28

아마르티아 센의 역량 접근에 대한 인정이론적 보완 가능성

2022년 1학기 학회 논문으로 제출한 글 이상론 정치철학의 방법적 유용함에는 공감하지만, 항상 더 겸손하지만 힘있고 설득력 있게 들리는 것은 아무런 가정에도 기대지 않고 이미 살고 있는 사람들을 무시하지 않는 비이상론인 것 같다. 이 때는 들뢰즈가 누군지도 몰랐지만 인간의 근본 경험을 가정하고 완전무결하게 추구할 만한 것으로 여겨지는 역량의 목록을 제시하려는 누스바움의 역량 '이론'보다 센의 역량 '접근'에 끌렸던 것이나, 센의 말마따나 자원과 개인이 맺는 관계적 측면을 도외시한 롤스 정치철학의 스케일에는 감탄하면서도 알게모르게 거북함을 느꼈던 것이나... 돌아보면 언제나 너무 성긴 그물코만을 제공하는 개념의 불충분성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던 세계의 은밀하지만 완전한 파산의 순간을 말한 들뢰즈에게..

개인 작업 2023.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