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현상학적 사회학 (04.30.) 현상학은 상호주관성에 대한 탐구, 곧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근본적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사회적 실재를 설명할 수 있다. 슈츠 슈츠는 현상학적 사회학의 창시자로 간주된다. 그는 베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나, 인식론과 의미론, 사회적 의미의 구성을 탐구하지 않은 베버의 이론적 공백을 후설의 현상학으로 메우고자 했다. 그는 사회적인 삶이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삶보다는 생활세계에서의 삶으로부터 구성된다고 보았고, 일상적 삶에 대한 체계적 검토로서 현상학을 채택하였다. 그는 생활세계의 본질적인 구조를 분석하고, 주체성이 어떻게 사회적 의미, 사회적 상황들의 구성에 기여하는가를 살폈다. 사회학은 사회적 의미 (구조)가 행위자에게 갖는 의미를 분명히 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