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주제별 분류)/현상학 3

단 자하비, ⟪현상학 입문⟫_제3부 응용현상학

제9장 현상학적 사회학 (04.30.) 현상학은 상호주관성에 대한 탐구, 곧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근본적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사회적 실재를 설명할 수 있다. 슈츠 슈츠는 현상학적 사회학의 창시자로 간주된다. 그는 베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나, 인식론과 의미론, 사회적 의미의 구성을 탐구하지 않은 베버의 이론적 공백을 후설의 현상학으로 메우고자 했다. 그는 사회적인 삶이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삶보다는 생활세계에서의 삶으로부터 구성된다고 보았고, 일상적 삶에 대한 체계적 검토로서 현상학을 채택하였다. 그는 생활세계의 본질적인 구조를 분석하고, 주체성이 어떻게 사회적 의미, 사회적 상황들의 구성에 기여하는가를 살폈다. 사회학은 사회적 의미 (구조)가 행위자에게 갖는 의미를 분명히 하는 것이..

단 자하비, ⟪현상학 입문⟫_제2부 구체적 분석

제7장 공간성과 체화 (04.29.) 하이데거에 의하면, 근대에 이르러 주체는 세계와 관계맺는 것 없이도 존립하는 고립된 ‘대상’처럼 이해되었다. 그러나 그에 따르면 “우리는 대개 우리가 거주하는 바로 그 세계 자체와의 관계에 따라 구성되는 존재자들이다.” (109면) 세계-내-존재In-der-Welt-sein 하이데거는 우리가 세계에 참여하는 존재라는 점을 드러내기 위해 ‘현존재’라는 용어를 도입하고, 그것의 근본적 특징인 ‘세계-내-존재’를 분석한다. 현존재는 ‘눈-앞에-있음present-at-hand’이라는 고립된 대상을 관조하는 것을 통해서가 아니라, ‘손-가까이-있음ready-to-hand’으로의 실천적 참여를 통해 세계에 참여한다. 눈-앞에-있음에 대한 이론적 탐구는 세계-내-존재로서의 우리가..

단 자하비, ⟪현상학 입문⟫_제1부 기본 주제들

모 선배의 추천으로 읽게 되었고, 빠르게 정리하면서 발제를 위한 요약 형식으로 남겼다. 이번 방학 안에 같은 작가의 ⟪후설의 현상학⟫도 이런 형식으로 정리해 소장할 계획이고, 그 뒤에는 이남인 선생님의 ⟪현상학과 해석학⟫을 시작으로 깊이를 더해 나갈 계획이 있다. -------------------------- 작성: 2023.04.18. ~ 04.23. 제1장 현상 (04.18.) 현상학은 현상에 대한 학문이다. 단순한 대상에 대한 일상적 경험도, 그 대상이 우리에게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점을 고찰하자면 현상학적 탐구의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현상학은 “대상들의 내용보다는 나타나는 방식에 관심을 둔다” (22면): 다양한 유형의 주어짐givenness에 대한 학으로서의 현상학. 자명종 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