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작가별 분류)/Jacques Rancière 5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제5장_해방하는 자와 그의 원숭이

요약 를! 다했어요 여전히 무지한 스승의 강요에 응답하지 않는 연약한 의지들, 평등하되 느린 지능의 문제가 남는다. 의지의 폭력 없는 해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느린 지능의 유감없는 발현을 위한 대화의 방법은 무엇인가? 요약문은 인쇄해서 다시 읽어볼 것이다. 이 문제들에 대해서는 조만간 생각을 정리해 볼 기회가 있기를 ---------------------------------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읽기 2023.08.29. (화) 제5장 해방하는 자와 그의 원숭이 L’émancipateur et son singe (pp.189-256) 자코토의 제자들은 모든 지능은 평등하다는 믿음 아래, 해방의 방법을 알리고 그것을 입증하는 데 동참해야 한다. 이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 문제는 스스로 ..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제4장_무시의 사회

‘가능한 사회’는 없고 지금의 사회만이 있다. 해방의 논리가 지금의 사회에서 힘을 얻기 위해서, 사회질서의 비이성적 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는 랑시에르의 논점이 흥미롭다.. 일단 요약부터 끝내고 다시 검토하면서 내 의문들도 어서 정리해 보고 싶다. 그건 그거고 원래 이틀에 한 챕터씩 끝내려고 했는데 글이 너무 어려워서 미루고 미루다 4장 다 보는 데 3일이 걸렸다. 오래 걸려도 (+아직 요약문 문장이 충분히 쉽게 읽히지 않는 것 같기는 하지만) 진득허니 한 흐름으로 엮어내는 경험이 역시 중요한 것 같다. 이렇게 안 하고 대충 넘어간 글들이 그동안 얼마나 많았던가… 암튼진짜어려웠음. ------------------------------------------------------- 자크 랑시에르, 《무지..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제3장_평등한 자들의 이성/이유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읽기 2023.08.25. (금) 제3장 평등한 자들의 이성/이유 La raison des égaux (pp.93-142) “우리는 지능의 평등이라는 의견에 따라 아이들을 이끈다.” (p.93) 누군가는 이것이 과학이 아니라 단지 의견일 뿐이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진리를 갖지 못한 자만이 진리를 구한다. 우리는 우리의 의견이 진리라고 함부로 단언하지 않되, “이 의견의 견고함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할 뿐이다. 우리의 문제는, 지능의 평등을 가정한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두뇌와 잎사귀 Des cerveaux et des feuilles (pp.95-101) 1. 인간의 지능과 잎사귀 (pp.95-97) 이 실험이 기초하는 의견에 반대하는 이들은 첫째,..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제2장_무지한 자의 수업/교훈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읽기 2023.08.22 (화) 제2장 무지한 자의 수업/교훈 La leçon de l’ignorant (pp.45-90) 칼립소, 칼립소는 못 했다! (pp.45-47) 루뱅의 프레데릭 왕자는 자코토에게 군사 교관 후보자들을 교육하도록 했다. 신병들은 《텔레마코스의 모험》을 각자 손에 쥐고 벤치에 나가 앉아 1장 절반의 문장들을 반복했고, 두 달 뒤 누군가는 영어를, 누군가는 독일어를, 축성술을, 화학을 배웠다. 물론 자코토는 이것 모두를 알고 있지는 못했다. “이것이 보편적 가르침이오. 제자가 스승 노릇을 하는 것이라오.” (p.46) 학생들은 이 책을 충분히 숙지할 만큼 되풀이해 읽고, 그들이 알게 된 것을 말해 볼 것을 요구받는다. 이때 학생들은 자신이 말하는 모든..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제1장_어떤 지적 모험

드디어 읽는다. 내 독서 모임 수업은 한 글자도 읽지 않은 이 책에서 알게모르게 어떤 에너지를 공급받아 왔다. 앎의 전달 없는 앎, 그러니까 배움의 발생이란 가능한가? 지적 충격, 알고 있던 답들의 와해, 인식능력들의 초월적 실행은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는가? 여행 중에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기도 했지만, 가장 중요한 주제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내 수업이었다. 학기 중에 바쁘다는 핑계로 별다른 준비 없이 ‘설명’할 수 있는 논리학을 수업 주제로 골라서 이제 거의 막바지로 다가가고 있는데, 잘 생각해 보면 이러려고 수업을 연 건 아니었다. 나만 알고 있는 내용을 나 혼자 일방적으로 떠들고, 학생들이 준비해 올 것을 줄여서 부담을 없애겠다는 핑계로 모든 준비와 진행을 나 혼자 떠맡는 형국이 되었다. 이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