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Gilles Deleuze, Les Gêneurs (1978)

CucuClock 2023. 10. 19. 20:38
728x90

<들뢰즈와 팔레스타인: 배경>

영토 없고, 탈영토화된 이들에 대한 민감함이 들뢰즈와 가타리의 ‘팔레스타인 대의’에 대한 관심commitment를 이룬다. 

1978년, 일란 할레비는 뱅센에서, 이스라엘의 아랍 영토 몰수에 대한 세미나를 열고, 가타리가 이 세미나에 참여했다. 여기에서 논의가 오가는 가운데 할레비와 가타리를 모두 알고 있었던 팔레스타인 지식인 엘리아스 산바르Elias Sanbar가 또한 참여했다.

이때를 즈음해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천 개의 고원>의 출판을 앞두고 있었고, 전쟁기계와 국가장치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팔레스타인의 경험에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게 가타리는 뱅센에서 산바르의 유목적인 전쟁 기술에 대한 발언을 듣고는 그를 들뢰즈와 연결해 주었다. 산바르와 들뢰즈는 이 만남 이후 오래도록 친분을 유지했고, 이 만남을 계기로 들뢰즈는 처음으로 까다롭고 어려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에 대한 공적인 견해를 <르몽드> 지에 남긴다. 이 글은 나중에 <광기의 두 체제>라는 대담/텍스트집에 실린다. 

레바논은 중동에서 기독교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였으나, 1950년대 이집트 혁명과 수에즈 전쟁을 거치면서 아랍 민족주의가 크게 유행하였고, 이스라엘의 탄압으로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해 레바논에 유입되면서 레바논에는 무슬림 인구가 크게 늘었다. 기독교계 대통령에 맞선 이슬람 국민통일전선의 소요로 발생한 내전 등을 거치면서, 레바논의 무슬림 인구 비율은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가운데 1964년 PLO가 창설되는데, 이 단체는 요르단에 거점을 두었다가 요르단군에 의해 진압된 이후 베이루트로 캠프를 옮긴다. 레바논 정부는 1969년 PLO와 카이로 협정을 맺어 팔레스타인 출신 인구가 모여 있던 레바논 남부 지역을 방관하였고, PLO는 이곳을 근거지로 하여 대이스라엘 테러 활동을 거듭한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이스라엘은 대규모 군사 작전을 통해 레바논 남부 빛 베이루트를 수시로 공격했다. 이 공격의 결과로 팔레스타인 난민과 레바논 인구가 큰 피해를 입고, 수천 명이 탈출하는 국면이 펼쳐진다. 

들뢰즈는 이것에 대해 “영토도 국가도 없는 팔레스타인인들은 세계의 방해꾼이다”라고 말했다. 이 글에서 그는 죽음만이 유일한 선택지로 주어진 팔레스타인들에 대한 공갈을 비판하고, 그들을 정식 교섭 상대로 인정할 것을 요구한다. 팔레스타인인들은 그들에게는 책임이 없는 전쟁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기사에 등장하는1936 스페인 전쟁, 1948 Operation Hiram에 대해서는 이후에 조사 후 게시물을 수정하겠음.

 

<LES GÊNEURS 방해꾼들>

Gilles Deleuze, 1978.04.07.

 

팔레스타인인들이 나라를 갖지 못함으로써 정식 교섭 상대가 될 수 있는 것은 왜일까? 그들에게 국가가 박탈됨으로써, 그들이 국가를 가지게 되리라는 것은 왜일까? 그들에게는 무조건 항복 외의 선택지가 주어진 적이 결코 없다. 그들에게 제시되는 것은 죽음뿐이다.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팔레스타인의 행동이 그저 테러리스트의 범죄 행위로 처리된 것과 대조적으로, 이스라엘의 행동은 정당한 반응으로 여겨졌다 (둘 사이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아랍인의 죽음은 이스라엘인의 죽음과 같은 척도를 갖지도, 같은 무게를 갖지도 않았다.

이스라엘은 1969년부터 레바논 남부를 폭격하고 기총소사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이스라엘은 레바논에 대한 최근의 침공이 텔아비브의 특공대 (3만 명의 군인 대 열한 명의 테러리스트)의 활동에 대한 반응일 뿐 아니라, 그들이 그 시작을 유보해 오던 일련의 예고된 작전을 수행한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주장한다. 팔레스타인 문제의 “최종 해결책”을 위해, 이스라엘은 이런저런 분위기nuance와 제재들과 더불어, 다른 국가들의 이견異見 없는 암묵적 동조에 기댈 수 있다. 영토도 국가도 없는 팔레스타인인들은 세계의 방해꾼들이다. 그들은 특정한 몇몇 국가로부터 무기와 돈을 받기는 하지만, 그들은 그들이 절대적으로 혼자라는 것을 선언할 때 그들이 말하는 것이 [무슨 뜻인지를] 안다. [곧,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팔레스타인의 전투원들도 그들이 어떤 의미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말한다. 그들은 레바논 남부에 끈질기게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는 레지스탕스 그룹만을 남겨 놓았다. [그에 대한] 복수로 이스라엘의 침공은 무분별하게 가난한 경작자들인 팔레스타인의 난민들과 레바논의 농민들을 공격했다. 마을과 도시의 파괴, 시민의 학살이 확인되었다. 곳곳에서 포탄의 사용이 보고된다. 리비아 남부의 인구는, 테러리스트 활동과 별 차이를 볼 수 없는 이스라엘군의 공격 아래, 지난 수년간 끝나지 않는 집단 탈출[의 상황] 속에서 떠났다가 돌아오기를 계속해야 했다. 현재의 [긴장] 고조는 20만 명의 피란민을 피란길에 오르게 했다. 이스라엘은 1948년 갈릴리를 비롯한 지방들에서 사용된 바 있는 방법을 레바논 남부에 적용한다. 이스라엘은 레바논 남부를 “팔레스타인” 한다. 

팔레스타인의 전투원들은 태어날 때부터 피난민이었다. 이스라엘은 그 안에서 새로운 전투원들이 태어날 수천 명의 피란민들을 더 만들어 내면서, 이 전투원들을 무찌른 척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를 말하게 하는 것은 레바논과의 관계뿐만은 아니다.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취약하고 복잡한 국가를 궤멸시킨다. 다른 측면도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모델은 작금의 테러리즘의 문제들에 있어 결정적이다. 유럽 안에서조차 말이다. [지금] 준비되고 있는 대로의 국가들의 국제적 합의, [국제적] 경찰 조직과 국제적 판결은 필연적으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잠재적 “테러리스트”와 동일시되는 데 있어 장애물을 제거한다. 

우리는 스페인이 갈수록 끔찍해지는 미래를 실험하는 실험실로 기능했던, 스페인 전쟁과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 오늘날 이 실험에 앞장서는 것은 이스라엘이다. 이스라엘은 다른 나라들이 [한편으로는 그것으로 하여서] 이득을 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나라들에 적용될 억압의 모델을 정착시킨다. 이스라엘의 정치에는 중요한 연속성이 있다. 이스라엘은 자신을 구두적으로 규탄하는 UN의 결의가 실은 이스라엘이 옳다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여긴다. 점령지에서 떠나라는 권유는 거기에 식민지를 건설해야 한다는 의무로 그 모습을 바꿨다. 이제 이스라엘은 레바논 남부에의 군사 파견이 훌륭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 군사들이 거기에서 그 지역을 잘 규율된 곳 혹은 통제된 황량한 땅으로 만드는 임무를 띠고 있을 때 말이다. 이것은 팔레스타인인들이 마침내 자기 자신으로, “정식 교섭 상대”로 인정받지 않는다면 세계 전체가 빠져나가지 못할 기묘한 공갈이다. 왜냐하면 전쟁 상태에서는 분명 팔레스타인인들은 그 공갈에 대해 책임이 없기 때문이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들뢰즈의 다른 발언들>

1) 시오니즘, 그리고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는 팔레스타인인들에게 그들을 법적으로 인정하라고 요구할 것이다. 하지만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거기에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기를 그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팔레스타인인들에 대해 절대 말하지 않을 것이다. 단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거기에 우연히, 혹은 실수로 있게 된 것마냥 말하기를 계속할 것이다.

Zionism, then the state of Israel, will demand that the Palestinians recognize them legally. But he, the State of Israel, will never stop denying the very fact of a Palestinian people. We would never speak of Palestinians, but of Palestinian Arabs as if they had found themselves there by chance of by mistake.

 

p.222 Deux Régimes de fous, Gilles Deleuze, 2003, ed. Les Éditions de Minuit, beforein Revue d’Études Palestiniennes n10, winter 1984 p.41-43.

 

2) 미국의 이스라엘에 대한 공모는 시오니스트들의 로비로부터 오는 것만은 아니다. 엘리아스 산바르는 미국이 어떻게 이스라엘 안에서 자신의 역사적 측면을 발견했는지 분명히 보여주었다: 인디언들의 말살 [...]. 그것은 텅 빈 공간을 만드는 일이었고, 그로부터 수많은 이주민들이 발생하게 될 게토를 제외하고는 원래 인디언이라고는 애초에 없었던 것처럼 하는 일이었다. 여러 가지 의미로 팔레스타인인들은 새로운 인디언들, 이스라엘의 인디언들이다.

 

The complicity of the United States with Israel does not come only from the power of a Zionist lobby. Elias Sanbar has clearly shown how the United States found in Israel an aspect of its history: the extermination of the Indians [...]. It was a matter of creating a void, and as if there had never been any Indians, except in ghettos which would make them so many immigrants from within. In many ways, the Palestinians are the new Indians, the Indians of Isreal.

 

Ibid., p.223.

 

3) 팔레스타인인들은 이 지옥과도 같은 역사의 굴레를 겪어 왔다. 가능한 해법의 모든 실패, 동맹의 배신으로부터 고통받은 일, 지켜지지 않은 가장 엄숙한 약속. 그리고 그들의 저항이 싹튼 것은 이 모든 일들로부터일 것이다. 

 

The Palestinians have gone through all these infernal cycles of history, the failure of solutions whenever they were possible, the worst reversals of alliances for which they suffered, the most solemn promises not kept. And from all this, their resistance must have been nourished.

 

Ibid., p.224.

 

 

<원문>

https://www.lemonde.fr/archives/article/1978/04/07/les-geneurs_2972692_1819218.html

POURQUOI les Palestiniens seraient-ils des " interlocuteurs valables " puisqu'ils n'ont pas de pays ? Pourquoi auraient-ils un pays, puisqu'on le leur a ôté ? On ne leur a jamais donné d'autre choix que de se rendre sans conditions. On ne leur propose que la mort. Dans la guerre qui les oppose à Israël, les actions d'Israël sont considérées comme des ripostes légitimes (même si elles paraissent disproportionnées), tandis que celles des Palestiniens sont exclusivement traitées de crimes terroristes. Et un mort arabe pas la même mesure ni le même poids qu'un mort israélien.

Israël n'a pas cessé depuis 1969 de bombarder et de mitrailler le Sud-Liban. Il a reconnu explicitement que l'invasion récente de ce pays était non pas une riposte à l'action du commando de Tel-Aviv (trente mille soldats contre onze terroristes), mais le couronnement prémédité de toute une série d'opérations dont il se réservait l'initiative. Pour une " solution finale " du problème palestinien, Israël peut compter sur une complicité presque unanime ces autres États, avec des nuances et des restrictions diverses. Les Palestiniens, gens sans terre ni État, sont des gêneurs pour tout le monde. Ils ont beau recevoir des armes et de l'argent de certains pays, ils savent ce qu'ils disent quand ils déclarent qu'ils sont absolument seuls.

Les combattants palestiniens disent aussi qu'ils viennent de remporter une certaine victoire. Ils n'avaient laissé au Sud-Liban que des groupes de résistance, qui semblent avoir fort bien tenu. En revanche, l'invasion israélienne a frappé aveuglément les réfugiés palestiniens, les paysans libanais, tout un peuple de cultivateurs pauvres. Des destructions de villages et de villes, des massacres de civils, sont confirmés ; l'emploi de bombes à billes est signalé de plusieurs côtés. Cette population du Sud-Liban n'a pas cessé depuis plusieurs années de partir et de revenir, en perpétuel exode, sous les coups de force israéliens dont on ne voit pas très bien ce qui les distingue d'actes terroristes. L'escalade actuelle a jeté sur les chemins deux cent mille personnes sans abri. L'État d'Israël applique au Sud-Liban la méthode qui a fait ses preuves en Galilée et ailleurs en 1948 : il " Palestine " le Sud-Liban.

Les combattants palestiniens sont issus des réfugiés. Israël ne prétend vaincre les combattants qu'en faisant des milliers d'autres réfugiés, d'où naîtront de nouveaux combattants.

Ce ne sont pas seulement nos rapports avec le Liban qui nous font dire : l'État d'Israël assassine un pays fragile et complexe. Il y a aussi un autre aspect. Le modèle Israël-Palestine est déterminant dans les problèmes actuels du terrorisme, même en Europe. L'entente mondiale des États, l'organisation d'une police et d'une juridiction mondiales, telles qu'elles se préparent, débouchent nécessairement sur une extension où de plus en plus de gens seront assimilés à des " terroristes " virtuels. On se trouve dans une situation analogue à celle de la guerre d'Espagne, lorsque l'Espagne servit de laboratoire d'expérimentation pour un avenir plus terrible encore.

Aujourd'hui, c'est l'État d'Israël qui mène l'expérimentation. Il fixe un modèle de répression qui sera monnayé dans d'autres pays, adapté à d'autres pays. Il y a une grande continuité dans sa politique. Israël a toujours considéré que les résolutions de l'ONU qui le condamnaient verbalement lui donnaient en fait raison. L'invitation à quitter des territoires occupés, il l'a transformée en devoir d'y installer des colonies. Actuellement il considère que l'envoi de la force internationale au Sud-Liban est excellent... à condition que celle-ci se charge à sa place de transformer la région en une zone de police ou en désert contrôlé. C'est un curieux chantage, dont le monde entier ne sortira que s'il y a une pression suffisante pour que les Palestiniens soient enfin reconnus pour ce qu'ils sont, des " interlocuteurs valables ", puisque dans un état de guerre dont ils ne sont certes pas respons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