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작가별 분류) 32

악셀 호네트, ⟪인정: 하나의 유럽 사상사⟫_제3장

제3장 흄에서 밀로: 인정과 자기통제 2022.08.01. (월)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에서 중요한 철학적 문제가 봉건적 신분질서의 붕괴 이후 개인의 사회적 위치와 그에 따른 개인의 행동이었다면, 영국은 상황이 조금 달랐다. 영국에서 가장 중요한 철학적 문제는, ‘전통적 도덕 원칙에 의해 지켜져 온 공적 삶의 공간 안으로 도구적/경제적 행동방식이 점차 침입해 들어오는’ (97면) 사회의 상업화 현상이었다. 인간이 자신의 이익만을 타자에 대한 고려 없이 좇는 것이, 사회 전체의 관점에서는 이익이 되는가, 혹은 손해가 되는가? 인간 도덕은 인간이 타자의 안위를 신경쓸 수 있는 타고난 감정을 가졌기 때문에 생겨난 것인가, 아니면 자기 이익의 추구의 결과로서 만들어진 것인가? 인간을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

악셀 호네트, ⟪인정: 하나의 유럽 사상사⟫_제1장, 제2장

제1장 ~ 제2장 2022.07.25. (월) 이 연구는 호네트가 2018년 케임브리지 대학의 존 로버트 실리 강좌의 구성을 위해 수행한 것으로, ‘주체들 서로 간의 관계가 타자에 의한 평가 혹은 인정이라는 상호의존성을 통해 각인되어 있다는, 오늘날 우리에게 자명한 생각의 사상사적 뿌리’를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의 구성원들은 어떻게 긍정적으로 관계맺을 수 있는가? ‘인정’ 개념은 그것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며, 그것의 역사적 발전 과정은 어떤 것인가? 제1장 [사상사 대 개념사: 연구 방법] 호네트는 당연하게도, 인정 개념이 그 역사적 구성에서나, 현대적 사용에서나 매우 모호하고 다루기 까다로운 개념임을 적시한다. 설령 주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한 설명이, 도덕적인 고려를 ..